협회소개
협회소개
-
2023
한국섬유수출입협회
홈페이지 리뉴얼 -
2023
섬수협 60주년 행사
한국섬유수출입협회(회장 민은기)가 창립 60주년 기념 행사에서 섬유산업
현장 근로자를 격려하고 섬유패션산업의 미래 비전 모색을 다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섬유제조현장에서 장기근속한 근로자(31명)와 외국인
근로자(6명) 및 근로자 자녀 장학생(30명) 등 총 68명 우수 근로자를
시상했으며, 기념사와 축사 및 60년사 기념 영상 및 책자 소개가 이뤄졌다. -
2022
사무실 이전
강남구 테헤란로 518 -
2019
섬유의 날 대통령상 단체 표창 수상
한국섬유수출입협회(회장 민은기)는 제33회 섬유의 날 최우수 단체로
인정받아 영예의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이는 지난 60년간 국내
섬유기업들의 경쟁력 제고를 통해 섬유산업 미들스트림의 구심체로서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해 온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 -
2019
사무실 이전
송파구 송파대로 201 -
2019
한국섬유수출입조합
↓
한국섬유수출입협회 bb명칭 변경 -
2015
민은기 이사장 선임
성광 대표이사 13~15대
('15. 3. 4. ~ 현재) -
2013
한국섬유수출입조합
↓
한국섬유수출입협회 명칭 변경 -
2007
프리미에르비종 파리 전시회 첫 참가
2007년 프레미에르 비죵 전시회에 영풍필텍스(대표 남복규)가 국내 최초로
참가한데 이어, 섬수조의 단체 지원을 통해 참가업체가 해마다 늘어났다. -
2003
박상태 이사장 선임
성안 대표이사 9~12대
('03. 3. 1. ~ '15. 3. 3.) -
2000
조합 홈페이지 개설
www.textra.or.kr -
2000
강태승 이사장 선임
승우무역 대표이사 7~8대
('00. 2. 23. ~ '03. 2. 28.) -
1997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
↓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
명칭 변경 -
1995
직물 수출 100억불 행사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이사장 박창호)은 1995년 4월 20일 정재계와
섬유 업계 관계자들 5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롯데호텔에서 ‘섬유직물 수출
100억 달러 돌파 기념 축하’ 행사를 가졌다. 이날 행사에서 70여 명의
유공자들이 훈포장을 받았다. -
1993
박창호 이사장 선임
갑을 대표이사
5~7대 ('93. 2. 5. ~ '00. 2. 22.) -
1981
백영기 이사장 선임
동국무역 대표이사
1~4대('81. 1. 13. ~ '93. 2. 4.) -
1981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 재통합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은 1980년 한국홀치기제품수출조합 흡수와
한국면제품수출조합과의 재통합 과정을 거쳐 1981년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으로 재통합된다. -
1978
손상모 이사장 선임
삼성물산 대표이사
9대('78. 2. 14. ~ '80. 11. 26.) -
1977
제14회 수출의 날
수출유공 대통령기 수상1977년 12월 22일 수출의 날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이사장 이은택),
한국면제품수출조합(이사장 김각중), 한국홀치기제품수출조합
(이사장 김기현) 등 3개 단체는 모두 맡은 바 역할에 충실한 공로로
수출유공 대통령기를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
1974
신섬유쿼터제 운영 개시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과 한국면제품수출조합이 정부로부터 쿼터 관리
운영을 위탁받아 수행하는 수출조합이 되었다. 정부는 해마다 섬유쿼터
운영요령을 수정하여 발표하였고, 이는 쿼터제가 폐지되는
2005년 1월까지 지속하게 된다. -
1974
이은택 이사장 선임
제일합섬 대표이사
7~8대('74. 2. 8. ~ '78. 2. 13.) -
1973
김정열 이사장 직무대리 선임
삼성물산 대표이사('73. 11. 16. ~ '74. 2. 7.) -
1972
해외출장소 개소(EEC, 홍콩, 미국)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은 해외 수출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 사무소를
운영했다. 해외 사무소의 활동은 1981년 면제품, 홀치기제품 등 2개 조합과
함께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으로 단체 통폐합이 이뤄질 때까지 지속되었다. -
1971
제8회 수출의 날
수출유공 대통령 표창 수상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이사장 최종건)은 1971년 11월 30일 수출의 날
수출유공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당시 우리나라 섬유직물 수출은 여타
산업에 비해 크게 발전하고 있었으며 정부에서 이를 인정했기 때문이다. -
1971
제8회 수출의 날
수출유공 대통령 표창 수상한국직물수출조합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
명칭 변경 -
1967
한국홀치기제품수출조합 설립
-
1967
최종건 이사장 선임
선경직물 대표이사
4~7대('67. 9. 20. ~ '73. 11. 15.) -
1965
한국면제품수출조합 설립
-
1965
한국견직물수출조합
↓
한국직물수출조합 명칭 변경 홍정모 이사장 선임
삼광직물 대표이사
3대('65. 9. 21. ~ '67. 9. 11.) -
1965
김운항 이사장 선임
조선견직 대표이사
2대('65. 4. 13. ~ '65. 9. 20.) -
1963
김학서 이사장 선임
대아산업 대표이사
1대('63. 5. 25. ~ '65. 4. 12.) -
1963
한국견직물수출조합 설립
1961년 9월 9일 제정된 수출조합법에 따라 1963년 5월 25일 창립총회를
거쳐 한국견직물수출조합(이사장 김학서)이 설립되었다.
-
2022
- 01 현 사무실로 이전(강남구 테헤란로 518 섬유센터빌딩 2층)
-
2019
-
04
명칭변경 (한국섬유수출입조합 → 한국섬유수출입협회)
사무실 이전 (송파구 송파대로 201 테라타워2 B동 710-711호)
-
04
명칭변경 (한국섬유수출입조합 → 한국섬유수출입협회)
-
2013
- 05 명칭변경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 → 한국섬유수출입조합)
-
2005
- 02 회원사 온라인 서비스 업무 개시
-
2000
- 05 홈페이지 개설
-
1999
- 04 사무실 이전 (강남구 삼성동 → 강남구 대치동 944-31 섬유센터 16층)
- 02 사단법인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 (민법 제 32조)
-
1997
-
07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 법인설립인가 (대외무역법 제45조(인가번호 제 97-11호 통상산업부장관)
명칭변경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 →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
-
07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 법인설립인가 (대외무역법 제45조(인가번호 제 97-11호 통상산업부장관)
-
1990
- 05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 강북 연락사무소 설치
-
1988
- 08 사무실 이전 (중구 회현동 → 강남구 삼성동 159 무역회관 18층)
-
1981
-
01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 (특별법-대외무역법 제45조)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 및 한국면제품수출조합 해산
-
01
한국섬유직물수출조합 (특별법-대외무역법 제45조)
-
1980
- 11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이 한국홀치기제품수출조합 흡수통합
- 02 사단법인 한국섬유직물수출입조합 (민법 제 32조)
-
1975
- 07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 대구출장소 설치
-
1972
- 06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 해외 출장소 개소
-
1971
- 02 명칭변경 (한국직물수출조합 → 한국직물원사수출조합)
-
1967
- 11 한국홀치기제품수출조합 창립
-
1965
- 11 한국면제품수출조합 창립
- 09 명칭변경 (한국견직물수출조합 → 한국직물수출조합)
-
1963
- 05 한국견직물수출조합 창립